태양의 극대기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올해엔 비행기를 타지 말아야 할까?
`24 ~`25이 이번 극대기의
절정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20년만의 가장 강력한 극대기일 것으로
예측돼 단단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태양 극대기란?
태양 극대기라는 용어 보다는
'태양의 극층'나 '태양의 외곽 대기'와
같은 용어가 좀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외부 대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지고, 가장 외곽에 위치한
부분이 극대기입니다.
극대기는 매우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온도가 표면보다 높아짐에
따라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극대기에서는 태양의 자기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극대기는 태양의 활동과 우리 주변의
태양풍이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을 하면 지구의
자기장을 깨뜨리거나 높은 위험을
초래하게 됩니다.
태양의 극대기가 찾아올 때의 현상?
태양은 약 11년을 주기로 흑점 폭발이
왕성해지는 극대기에 찾아옵니다.
이 때 지구에는 정전이나 통신 장애가
발생해 라디오 통신이 끊기거나 비행기의
통신 장애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통신 장애는 가장 흔한 현상입니다.
문제는 태양 흑점 폭발 규모가 커서
지구 자기장이 크게 흔들리게
되면 지구의 전력망이
마비될 위험에 놓여지는 것입니다.
`23년 12월에 미국의 NASA가 촬영한
태양에서 번쩍할 정도의 큰 흑점 폭발이
여러번 포착됐다고 합니다.
인체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우주 방사선이 늘어나면 좀 위험에
노출되기는 합니다만 지구 자기장의
보호를 받는 영역에선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비행기 탑승자는 더 많은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기에
태양 폭발이 예보될 경우엔 항공사들은
북극 항로를 피해 운행하기 합니다.
이럴 경우엔 임산부나 취약 계층은
비행기 탑승에 좀 더 주의를
요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태양의 흑점 폭발은 인공위성
발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발사된 인공위성 49개
가운데 40개가 궤도 안착에 실패했는데,
원인을 분석해 보니 태양 폭발이
주 원인이었다고 합니다.
올해부터 `25년까지 세계 각국은
좀 더 세심한 주의와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하기 쉽고 재미있는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큐비트 양자 컴퓨터 대한민국 부산에 들어옵니다 (31) | 2024.02.08 |
---|---|
구름의 종류는? (0) | 2024.02.02 |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목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1) | 2024.01.26 |
모든 에너지의 근원인 태양에 대해 알아봅니다. (1) | 2024.01.25 |
지구온난화의 심각성 (1)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