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탄생에 대해 현재까지 과학자들은 수많은 관측과 연구를 통해 가설을 제시하고 있는데, 가장 흔한 가설은 약 45억 년 전에 지구 주변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작은 행성 크기의 천체가 지구와 충돌해 생겼다는 '충동설'입니다. 충돌로 인해 대규모의 먼지와 가스가 발생했고, 생성된 먼지와 가스는 중력에 의해 서서히 응축되면서 차가워져 고체가 되었는데, 이 물질이 지구 주변에 원형을 이루면서 달로 형성되었다는 것입니다.
달의 탄생 비화
최근 NASA(미국 항공우주국)와 영국 더럼대 연구진이 슈퍼컴퓨터와 은하 형성 연구에 사용된 모델을 이용해 정밀한 시물레이션을 돌렸는데, 그 결과가 매우 흥미롭습니다.
지구와 충돌한 작은 행성은 충돌한 뒤 불과 약 4시간만에 달에 형태를 갖췄다는 것입니다.
수만에서 수백만 년에 시간에 걸쳐 서서히 달의 형태를 갖췄다는 정형화된 가설을 완전히 뒤엎는 결과물인 것이지요.
인간의 달 착륙
사실상 달 탄생의 비밀을 푼 단초는 1969년 7월 21일에 미국의 아폴로 11호의 선장인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디뎠던 역사적인 순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후 수차례 달 탐사를 하면서 달의 암석과 토양을 지구로 가져와 여러 연구가 시작됐습니다.
수십 년 동안 연구가 거듭되면서 그동안의 가설들이 하나씩 쓸모 없어졌고, 달의 생성은 작은 행성의 충돌로 인해 생겨난 것이라고 가설이 아닌 정설로 굳어지게 되었습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원시 지구의 자전 속도는 달이 떨어져 나갈 정도로 빠른 속도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아폴로가 달에서 가져온 달의 암석을 분석한 결과 산소와 텅스텐 같은 원소의 동위원소 비율이 지구와 거의 흡사하다는 것인데, 이는 중력에 의해 멀리 있는 달이 지구에 붙잡혀 있다는 것도 단지 가설로 판명되었습니다.
점점 작아지는 달
얼마 전에 미국 메릴랜드대학에 석한 연구팀에서 발표된 내용으로 매우 흥미로워 중요한 부분만 발췌해 올리겠습니다.
달은 지난 몇 억년에 걸쳐 아주 조금씩 천천히 오그라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영향으로 달에 지진이 발생하고 육지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인데, 달 탐사를 위해 여기저기 설치한 기지들이 향후 지속되는 지진으로 많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달이 이렇게 축소되는 가장 큰 원인은 점차적으로 차가워지는 달의 핵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달의 지진이 늘면서 달의 지표면 균열이 더욱 가속화 중이라고 합니다.
얕은 달 지진은 달 지표면으로부터 약 50~220km의 깊이에서도 일어 나는데 이를 '천발월진'이라 부릅니다.
달의 지진계가 감지한 최대급 지진의 진원지는 달의 남극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달에 대한 중요한 정보
1. 달은 지구의 자연 위성 중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천체로 지름은 약 3,474km로 지구의 약 1/4 크기입니다.
2.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또한 동시에 자전을 합니다. 이로 인해 우리에게 언제나 같은 면을 향해 있습니다.
3. 달은 우주에서 날아온 소행성 등과 충돌해 생긴 수많은 크레이터로 가득 차 있습니다. 가장 큰 크레이터는 달의 남극에 위치한 애폴로 크레이터로 지금이 약 500km에 달한다고 합니다.
4. 달의 어두운 부분을 '바다' 또는 '달해'라고 부르는데, 이는 달 표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평평한 지역으로 화산 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달의 표면은 먼지와 소용돌이에 덮여 있고, 이러한 먼지 등이 달의 표면을 보호합니다.
인간은 왜 이렇게 끊임없이 달을 탐사하는가?
인간이 달을 탐사하는 이유는 과학적, 기술적, 탐험적 욕구 등 여러 이유가 있을 겁니다.
지구에 가장 가까운 천체이기에 우주 탐사 기술을 개발하고 테스트를 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무엇보다도
달의 지하에 매장된 다양한 자원이 존재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듯 합니다. 이러한 자원을 활용한다면 우주 정거장 및
우주여행에 필요한 자원 공급이 가능하고, 지구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달 탐사의 경험과 자원 확보는 먼 미래에 인류가 다른 행성이나 천체로의 우주여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큰 도움이 될 것이고, 우주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인 발전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By 부나이
'따라하기 쉽고 재미있는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제펭귄이 버린 사라지는 남극 해빙 (3) | 2024.02.26 |
---|---|
1000큐비트 양자 컴퓨터 대한민국 부산에 들어옵니다 (31) | 2024.02.08 |
구름의 종류는? (0) | 2024.02.02 |
올해엔 비행기를 타지 말아야 할까? (1) | 2024.01.30 |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목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1) | 2024.01.26 |